티스토리 뷰
안녕하세요. 오늘은 건설기계 중 굴착공사와 양중 작업(굴삭기 양 중 포함)에 관한 관리기준에 대해 알아봅니다.
@굴착공사
1. 적용대상 및 작업공종
- 현장 내 반입되는 굴삭기, 도저, 모터그레이더, 로더, 지게차, 살수차, 덤프트럭, 믹스트럭이 적용대상입니다
- 현장에서 사용하는 장비 중 후진 시 충돌, 협착 위험이 있다고 판단되는 장비
2. 관리기준
- 후방카메라 : 작업 중 후방 확인 기능만 유지. DMB 시청 등 타용도 사용금지. 후방 확인 각도의 사각지대가 발생하지 않도록 설치(110도 이상)
- 협착 방지봉 : 굴삭기, 지게차, 로더에 설치. 장비 후면에 2개 이상 설치
3. 경광등
- 식별이 용이한 곳에 탈. 부착이 가능한 자석식으로 설치
@굴삭기 양중
1. 적용대상 및 작업 공종
- 양중 계획 검토사항 : 인양능력의 60%를 적용하고 작업범위를 검토한다
- 훅 해지 장치를 부착해야 하고 줄걸이 도구를 점검해야 한다
2. 관리기준
- 안착 지점 및 이동구간 작업면 평탄화 시행
- 양중/이동시 제원표 양중 능력의 60%만 적용(인양 하중 표가 없는 장비는 인양 불가)
- 브레이커 등 추가 부착물은 반드시 제거
- 훅 해지 장치 부착
- 양중용 줄걸이는 안전율 6 이상 적용
- 작업 지휘자 지정 후 관리감독
@양중 작업
1. 적용대상 및 작업 공종
- 건설자재 인양 작업장
- 이동식 크레인
- 구배가 있는 경사지역
- 가교 등 복공 상판 작업장
- 동절기 노면 결빙 장소
2. 관리기준
- 전담 신호수 배치하고 아웃트리거 완전 확장
- 작업 동선을 구획하고 작업 반경 내 출입 금지시키며 승인된 달기 기구 사용
- 양중 지지점은 2점 이상 지지가 원칙
- 바닥에서 20cm 권상하여 무게중심 확인
- 길이, 크기가 다른 자재는 한 번에 인양 금지
- 형상이 다양한 소자재는 양중 박스 사용
- 평균 풍속 10m/s 초과 시 작업중지하고 항상 유도로프를 사용해야 한다
- 작업 시작 전 일일점검 실시 : 과부하 방지장치, 권과 방지장치, 훅 해지 장치 등 이상 유무 확인
- 안전장치 임의 해지 금지
- 크레인 인양 능력 표를 비치해야 하며 장비 후면 협착 방지봉을 2개 이상 설치
@운반 및 기타 운행 작업
1. 적용대상 및 작업 공종
- 구배가 있는 경사지역, 가교 등 복공 상판 작업장, 동절기 노면 결빙 장소
2. 관리기준
- 삼각 쐐기형 고정시설 설치
- 동절기 경사면 청소(설빙 제거)
- 바퀴 앞. 뒤면 경사면 방향으로 고정 설치하고 신호수 배치
- 작업 중 경사면 방향 출입금지 및 운전원 이탈 금지
오늘도 도움되는 문서였으면 좋겠습니다. 행복한 하루 보내세요.
'안전.보건 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줄걸이 작업 관리기준에 대해 알아봅니다 (0) | 2019.06.12 |
---|---|
가설사무실 안전관리 및 지붕층 설치시 안전관리 (0) | 2019.06.11 |
건설기계 안전관리 와 중점위험작업 절차 (0) | 2019.06.09 |
건설기계 보험가입 기준을 알아봅니다 (0) | 2019.06.09 |
안전 보건 보호구 관리 (0) | 2019.05.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