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품명 -등유 유해 위험 문구 1. 인화성 액체 및 증기입니다. 2. 피부에 자극을 일으킵니다. 3. 삼켜서 기도로 유입되면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4. 호흡기계 자극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5. 졸음 또는 현기증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예방조치 문구 1. 열. 스파크. 화염. 고열로부터 멀리하십시오. 금연입니다. 2. 용기를 단단히 밀폐하십시오. 3. 용기와 수용설비를 접합시키거나 접지하십시오. 4. 스파크가 발생하지 않는 도구만을 사용하십시오. 5. 옥외 또는 환기가 잘되는 곳에서만 취급하십시오. 6. 보호장갑. 보호의. 보안경. 안면보호구를 착용하십시오. 7. 삼켰다면 즉시 의료기관의 진찰을 받으십시오. 8. 피부에 묻으면 다량의 비누와 물로 씻으십시오. 9. 흡입하면 신선한 공기가 있는 곳으로 옮..

물질 -휘발유 유해위험 문구 1. 고인화성 액체 및 증기입니다. 2. 피부에 자극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3. 삼켜서 기도로 유입되면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4. 눈에 심한 자극을 일으킵니다. 5. 암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6. 피부에 자극을 일으키고 유전적인 결함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예방조치 문구 1. 열, 스파크, 화염, 고열로부터 멀리하세요.(주변은 금연입니다.) 2. 용기를 단단히 밀폐하십시오. 3. 용기와 수용설비를 접합시키거나 접지하세요. 4. 스파크가 발생하지 않는 도구만을 사용하세요. 5. 옥외 또는 환기가 잘 되는 곳에서만 취급하세요. 6. 보호장갑, 보호의, 보안경, 안면보호구를 착용하십시오. 7. 삼켰다면 즉시 의료기관의 진찰을 받으십시오.(의사 진찰) 8. 피부에 묻으면 다량의..

물질 -경유 유해, 위험 문구 1. 피부에 자극을 일으킵니다. 2. 흡입하면 유해합니다. 3. 암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4. 장기적인 영향에 의해 수생생물에게 유해합니다. 예방조치 문구 1. 사용 전 취급 설명서를 확보해야 합니다. 2. (분진, 흄, 가스, 미스트, 증기, 스프레이)의 흡입을 피해야 합니다. 3. 취급 후에는 취급 부위를 철저히 씻어야 합니다. 4. 옥외 또는 환기가 잘 되는 곳에서만 취급합니다. 5. 환경으로 배출하지 말아야 합니다. 6. 보호장갑, 보호의, 보안경, 안면보호구를 착용해야 합니다. 7. 적절한 개인 보호구를 착용해야 합니다. 8. 피부에 묻으면 다량의 비누와 물로 씻어야 합니다. 9. 흡입하면 신선한 공기가 있는 곳으로 옮기고 호흡하기 쉬운 자세로 안정을 취해야 합니..

위험물의 보관 및 취급 1. 위험물 저장소 공통 표지 부착 2. 위험물 저장소 안전수칙(시트철판 으로 800 * 500) : 오른쪽 상단에 위치 3. 공병/실병(시트철판 300 * 210) : 공병은 저장소 내부 오른쪽 상단, 실병은 저장소 내부 왼쪽 상단 4. MSDS 부착 : 물질안전 보건자료 게시는 왼쪽 끝 정중앙 위험물의 보관 및 취급 1. 해당 물질의 제품사에서 제공하는 MSDS 게시 2. 경고표시의 칼라 인쇄를 원칙으로 한다. 3. 작업 전 물질근처 게시 후 근로자 교육을 실시해야 합니다. 4. 다량 적재 물질 및 유동성 있는 물질 근처에 게시합니다. 5. 표지규격은 500*630이고 PE 보드를 사용합니다. 이동식 가스용접기 1. 비눗물이나 측정기를 사용하여 가스가 새어 나오는지 확인해야 하..

거푸집 설치 시 안전 관리 적용대상 1. 거푸집 설치 작업 중 보 인양 작업 관리기준 1. 인양전 지상에서 생명줄을 설치해야 합니다. 2. 인양작업시 유도로프를 설치해야 합니다. 3. 인양시 분리형 2줄 걸이를 사용해야 합니다. 4. 신호수는 필히 배치 하십시오. 5. 1~4번 사항을 미준수 할시에는 인양중이라도 작업중지를 해야 합니다. 갱폼 설치 시 안전관리 적용대상 1. 일반 건축 구조물 외벽 갱폼 작업 시에 적용됩니다. 2. 기타 구조물 외벽 갱폼 작업시 안전관리 사항입니다. 관리기준 1. 갱폼 수직 사다리 일렬 설치를 금지합니다. 수직사다리는 지그재그로 설치해야 합니다. 2. 갱폼 수직 사다리 개구부는 해치형으로 설치해야 합니다. 3. 갱폼과 갱폼과의 통로 단차가 없게 설치해야 합니다. 4. 갱폼..

방지망 관리기준에 대해 알아봅니다. 적용대상 1. 일반 건축 구조물 외벽 2. 철골공사 중 외부 3. 기타 낙하물 발생 예상 지역 관리기준 1. 자재 기준으로 보면 안전 방망은 그물코(10mm) 안전인증품을 써야 합니다. 2. 지지하는 자재는 규격 틀(4m * 6m), 브래킷, 단관 파이프 등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3. 설치 기준으로 본다면 내민 길이는 3m 이상이어야 합니다. 4. 수평면과의 각도는 20~30도가 되어야 합니다. 5. 설치장소는 낙하물 방지망 1단 (3층 바닥 또는 8m 이내) 6. 건물과 낙하물 방지망 틈은 동일 자재를 사용해야 안전합니다. * 18.12.29부터 추락 또는 낙하물 방지망은 한국산업 표준 KS 성능기준 적합제품을 사용해야 합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관리기준 1. ..

철골작업시 관리해야할 안전을 모두 알아봅니다. 목차 철골설치 공사 모든 작업 일반 건축,기계배관 및 설비,기타제반 철골공사 고소작업 추락/낙하 위험 지역 철골 슬라브 단부, 안전난간 설치가 필요한 작업 기타 철골 작업 A. 적용대상 1. 철골설치 공사 모든 작업에 대해 적용됩니다. A. 관리기준 1. 인양전 생명줄 설치를 해야 합니다. 2. 인양 작업시 유도로프를 설치해야 합니다. 3. 인양시 2줄 걸이를 사용합니다. 4. 작업 책임자 및 신호수를 배치해야 합니다. 5. 작업 및 이동중 안전벨트를 사용해야 합니다. 6. 2중죔줄 체결 및 생명줄 실명제를 시행합니다. (매듭과 인장강도에 대해서) 7. 수직 안전로프 설치 및 로립(일명 코브라)을 설치해야 합니다. 8. 철골보 거치시 2인 1조 작업 기준입니..

강관비계 안전관리에 대해서 알아봅니다. 관리기준 1. 안전난간의 경우 상부 난간은 90cm~120cm로 설치합니다. 2. 중간난간은 상부 난간 ~ 바닥까지의 중간으로 설치합니다. 3. 토우보드는 10cm 이상 설치합니다. 4. 기둥간격은 띠장 방향은 1.5m ~ 1.8m 이하로 간격을 벌리고 장선 방향은 1.5m 이내로 합니다. 5. 띠장간격은 첫 띄장은 무조건 2m 이하에 설치해야 합니다. 6. 가새의 기둥간격 10m마다 45도 각도로 체결합니다. 7. 벽이음은 수직수평 5m * 5m 간격으로 하고 자재는 벽이음 전용 철물을 사용해야 합니다. 8. 비계 기둥간의 적재하중은 400kg 이하가 기준입니다. 9. 낙하물 방지망은 10m마다 설치해야 하고 첫 방지망은 8m 이내에 설치를 원칙으로 합니다. 10..

현장에서 적용되는 안전난간과 이동식틀비계의 관리기준과 적용대상에 대해 알아봅니다 비슷한 말비계에 대해서도 관리기준과 적용대상을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안전난간 이동식 틀비계에 말비계 결론 안전난간 관리기준 일반적인 안전난간은 그림과 같습니다. 관리기준 1. 상부 난간은 바닥면, 발판 또는 경사로의 표면으로부터 90cm~102cm 지점에 설치하고, 중간난간은 상부 난간과 바닥면 중간 높이에 설치합니다. 2. 상부 난간을 120cm이상 지점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중간난간을 2단 이상으로 하고 균등설치 난간의 경우 상하 간격은 60cm 이하로 해야 합니다. 3. 발끝막이 판(Toe Board)은 바닥면 등으로부터 10cm 이상 떨어져 있어야 합니다. 4. 난간대는 직경 2.7cm 이상의 금속제 파이프 또는 그 이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