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현장에서 적용되는 안전난간과 이동식틀비계의 관리기준과 적용대상에 대해 알아봅니다
비슷한 말비계에 대해서도 관리기준과 적용대상을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안전난간 관리기준
일반적인 안전난간은 그림과 같습니다.
관리기준
1. 상부 난간은 바닥면, 발판 또는 경사로의 표면으로부터 90cm~102cm 지점에 설치하고, 중간난간은 상부 난간과 바닥면 중간 높이에 설치합니다.
2. 상부 난간을 120cm이상 지점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중간난간을 2단 이상으로 하고 균등설치 난간의 경우 상하 간격은 60cm 이하로 해야 합니다.
3. 발끝막이 판(Toe Board)은 바닥면 등으로부터 10cm 이상 떨어져 있어야 합니다.
4. 난간대는 직경 2.7cm 이상의 금속제 파이프 또는 그 이상의 강도가 있는 자재를 사용해야 합니다.
5. 안전난간의 인장하중은 100kg/f 이상을 견딜수 있는 구조이어야 합니다. (100kg/f 이상이므로 좀 더 튼튼하면 좋겠지요!!)
적용대상 및 작업공종
1. 기둥철근 조립작업시 관리대상입니다.
2. 기계.전기 배관작업 적용대상입니다.
3. 이동식 틀비계를 사용하는 공종은 전부 적용.관리 대상입니다.
이동식 틀비계에 대한 안전관리를 알아보겠습니다.
이동식 틀비계 관리기준
1. 이동식 틀비계는 작업팔판, 주틀구조부, 승강설비, 안전난간, 발끝막이판 등으로 구성되어있습니다.
2. 발판간의 틈간격은 3cm 이하이어야 합니다. 폭은 40cm 이상입니다.
3. 비계의 최대 높이는 밑변 최소폭의 4배이하 입니다.
4. 재료, 공구 등은 달기로프 및 달기포대를 사용하여 상하이동을 시켜야 합니다.
5. 요철 또는 경사지역은 수평상태를 유지시켜줘야 합니다. 필요시 잭(jack)을 사용합니다.
6. 아우트리거는 반드시 설치해야 합니다.
7. 상부 탑승 상태에서는 이동을 금지합니다.
8. 최대 적재하중은 400kg 이하 입니다.
9. 위험경고 및 안전표지판을 설치해야 합니다.
10. 작업판은 2개소 이상 고정해야 합니다.
11. 작업대 위에서 말비계 사용을 금지합니다.
이동식 틀비계의 적용대상 및 작업공종
1. 기둥철근 조립작업시 적용대상 입니다.
2. 기계, 전기 배관작업시 적용됩니다.
3. 이동식 틀비계를 사용하는 모든 공종은 적용대상입니다.
말비계
말비계 관리기준
1. 작업발판은 폭이 40cm 이상이고 높이는 1.2m 이하입니다.
2. 승, 하강을 위한 디딤판을 25~35cm 간격으로 설치합니다.
3. 지주부재 하단에는 미끄럼 방지 장치가 꼭 있어야 합니다.
4. 양쪽 끝부분에는 단부임을 알 수 있도록 표식이 되어 있어야 합니다.
5. 지주부재와 수평면과의 기울기를 75도 이하로 지켜야합니다.
6. 승강 디딤판 미끄럼 방지시설이 부착되어 있어야 합니다.
말비계 적용대상 및 작업공종
말비계를 사용하는 모든공종. (예를 들어 항타장비도 사용됩니다.)
결론
이상 안전난간, 이동식틀비계, 말비계 까지의 관리기준과 적용대상에 대해 간략하게 알아봤습니다.
항상 안전은 머리속에서 지우면 안되며 공부해서 아는만큼 보입니다.
꼭 내 사업장이 아니더라고 한번더 챙겨볼수 있어야 합니다.
그런 마인드와 환경이라면 안전율 제로(zero)에 가까운 성과를 이룰수 있습니다.
다음은 강관비계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안전.보건 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화물 및 고압가스 작업에관한 보건관리 (0) | 2019.05.23 |
---|---|
거푸집 및 갱폼, 동바리 설치 안전관리 (0) | 2019.05.23 |
낙하물 방지망 안전 (0) | 2019.05.22 |
철골 안전 관리 (0) | 2019.05.22 |
강관 비계의 안전관리 (0) | 2019.05.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