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강관비계 안전관리에 대해서 알아봅니다.

건축물 외벽적용

관리기준

1. 안전난간의 경우 상부 난간은 90cm~120cm로 설치합니다.

2. 중간난간은 상부 난간 ~ 바닥까지의 중간으로 설치합니다.

3. 토우보드는 10cm 이상 설치합니다.

4. 기둥간격은 띠장 방향은 1.5m ~ 1.8m 이하로 간격을 벌리고 장선 방향은 1.5m 이내로 합니다.

5. 띠장간격은 첫 띄장은 무조건 2m 이하에 설치해야 합니다.

6. 가새의 기둥간격 10m마다 45도 각도로 체결합니다.

7. 벽이음은 수직수평 5m * 5m 간격으로 하고 자재는 벽이음 전용 철물을 사용해야 합니다.

8. 비계 기둥간의 적재하중은 400kg 이하가 기준입니다.

9. 낙하물 방지망은 10m마다 설치해야 하고 첫 방지망은 8m 이내에 설치를 원칙으로 합니다.

10. 경사로의 경사는 30도 이하이고 높이 7m 이내마다 계단참을 설치해야 합니다.

11. 통로에서 사다리는 상단 60cm 이상, 높이 5m 이내마다 계단참을 설치해야 합니다.

12. 계단 통로는 강도가 500kg/m2 이상이어야 하고 높이 3m 이내마다 계단참 설치.

13. 작업발판은 폭 40cm 이상, 틈 3cm 이하이어야 하며 추락위험 장소에서는 난간과 방망 그리고 안전대 설비가 갖춰줘 있어야 합니다.

14. 비계하부는 미끄러짐과 침하를 방지해야 합니다. 미끄럼 방지에는 깔판과 깔목을 사용할 수 있고 침하 방지에는 받침 철물/밑둥 잡이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건축물 외벽 설치 예시

강관비계 관리기준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조금더 첨부해 보겠습니다.

 

적용대상

1. 일반 건축물 외벽

2. 철골공사중 외부

3. 기타 낙하물 발생 예상지역

4. 슬라브 단부나 작업발판, 통로 또는 철골 공사 안전난간 등

5. 기타 안전난간 설치가 필요한 작업

기준

- 근로자의 추락 위험이 있는 작업구간에는 난간기둥과 상부 난간대, 중간 난간대, 발끝 막이판으로 구성된 안전 난간대를 설치하는 것을 기준으로 합니다.

관리기준

1. 비계 사이(틈) 및 비계와 구조물 사이에 설치해야 합니다.

2. 안 전방 망 및 기타 합판 재료를 사용해야 하며 소형 유공 발판을 사용해도 무방합니다.

3. 틈이 생기지 않게 밀실 하게 설치해야 합니다.

4. 외부비계 작업발판 내외 측에 안전난간대를 설치해야 합니다.

5. 안전난간대는 강관 파이프를 설치합니다.

6. 안전난간 기둥 간의 간격은 2m 이내로 합니다.

7. 안전난간은 100kg 이상의 횡력에 견딜 수 있도록 설치합니다.

8. 이동식 틀비계 상부와 계단참, 슬라부 단부 등에 발끝 막이판을 설치해야 합니다.

9. 발끝 막이판은 최소 높이 10cm 이상 설치를 해야 합니다.

10. 외부비계에 수 직방 망을 설치할 때 발끝 막이판은 제외시킵니다.

 

이상으로 강관비계 안전관리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