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방지망 관리기준에 대해 알아봅니다.
적용대상
1. 일반 건축 구조물 외벽
2. 철골공사 중 외부
3. 기타 낙하물 발생 예상 지역
관리기준
1. 자재 기준으로 보면 안전 방망은 그물코(10mm) 안전인증품을 써야 합니다.
2. 지지하는 자재는 규격 틀(4m * 6m), 브래킷, 단관 파이프 등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3. 설치 기준으로 본다면 내민 길이는 3m 이상이어야 합니다.
4. 수평면과의 각도는 20~30도가 되어야 합니다.
5. 설치장소는 낙하물 방지망 1단 (3층 바닥 또는 8m 이내)
6. 건물과 낙하물 방지망 틈은 동일 자재를 사용해야 안전합니다.
* 18.12.29부터 추락 또는 낙하물 방지망은 한국산업 표준 KS 성능기준 적합제품을 사용해야 합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관리기준
1. 테두리 로프 또는 매달기 로프는 15,000N 이상의 강도를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2. 지지방법은 낙방+단관 파이프+브래킷입니다.
3. 안전방망 그물코는 역시 10mm의 안전인증품을 사용해야 합니다.
4. 내민 길이는 3m 이상이고 수평 길이는 관련 법규를 준수하는 수준이어야 합니다.
5. 수평면과의 각도는 20~30도입니다.
6. 설치장소 역시 낙하물 방지망 1단 (3층 바닥 또는 8m 이내)입니다.
7. 낙하물 방지망 틈은 건물과 동일 자재를 사용해야 합니다.
관리기준
1. 안전방망은 3000 데니아 PVC 코팅 망 안전인증품을 사용해야 합니다.
2. 규격 틀 (1.8m * 3m), 브래킷, 단관 파이프로 지지합니다.
3. 테두리 로프 또는 매달기 로프의 강도는 15,000N 이상입니다.
4. 내민 길이는 3m 이상입니다.
5. 수평면과의 각도는 20~30도입니다.
6. 설치장소는 3층 바닥 또는 8m 이내입니다.
7. 건물과 낙하물 방지망 틈은 동일 자재를 사용합니다.
관리기준
1. 안전방망은 안전 인증된 20mm 그물코를 사용합니다.
2. 지지는 브래킷과 단관 파이프 등의 가설재를 사용합니다.
3. 테두리 로프 또는 매달기 로프는 15,000N 이상의 강도여야 합니다.
4. 내민 길이는 3m 이상입니다.
관리기준
1. 방호선반은 안전 인증된 유공판이나 성능 점검된 가설재를 사용합니다.
2. 지지방법은 전용 철물 및 와이어로프, 강관 PIPE를 사용합니다.
3. 테두리 로프나 매달기 로프는 15,000N 이상의 강도를 지닌 제품이어야 합니다.
4. 설치장소는 낙하물 방지망 1단입니다.
5. 수평으로 방호선반의 끝단에는 수평면으로부터 높이 60cm 이상의 난간을 설치, 난간은 방호선반에 낙하물이 외부로 튕겨나가는 것을 방지할 정도가 되어야 합니다.
관리기준
1. 안전인증을 받은 방염처리된 수직보호망
2. 지지방법은 실측 재단하여 설치해야 하며 끝단부는 박음질 및 i-net 처리합니다.
3. 색상은 녹색 컬러 등 현장의 특성을 적용하여 선별합니다.
4. 고정 방법은 케이블 타이 37mm, PP로프(5mm) 등 테두리 로프 (3mm)를 사용합니다.
5. 설치장소는 갱폼의 외부 및 낙하물 발생이 예상되는 수직 개구부입니다.
관리기준
1. 안전방망은 그물코(20mm)를 사용합니다. 안전인증을 받은 제품이어야 하며 합판과 같이 설치합니다.
2. 지지방법은 브래킷과 단관 파이프 등 가설재를 사용해서 지지합니다.
3. 지지는 실측 재단을 해야 하며 끝단부 박음질 처리 및 i-net 처리를 해야 합니다.
* 마치며...
대부분 관리기준이 대동소이하나 정확히 알고 가야 할거 같아서 적어봤습니다. 앞으로의 업무에 참고해 보세요~
'안전.보건 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화물 및 고압가스 작업에관한 보건관리 (0) | 2019.05.23 |
---|---|
거푸집 및 갱폼, 동바리 설치 안전관리 (0) | 2019.05.23 |
철골 안전 관리 (0) | 2019.05.22 |
강관 비계의 안전관리 (0) | 2019.05.21 |
안전난간과 이동식틀비계의 관리기준, 적용대상 그리고 말비계 (0) | 2019.05.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