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위험물의 보관 및 취급
1. 위험물 저장소 공통 표지 부착
2. 위험물 저장소 안전수칙(시트철판 으로 800 * 500) : 오른쪽 상단에 위치
3. 공병/실병(시트철판 300 * 210) : 공병은 저장소 내부 오른쪽 상단, 실병은 저장소 내부 왼쪽 상단
4. MSDS 부착 : 물질안전 보건자료 게시는 왼쪽 끝 정중앙
위험물의 보관 및 취급
1. 해당 물질의 제품사에서 제공하는 MSDS 게시
2. 경고표시의 칼라 인쇄를 원칙으로 한다.
3. 작업 전 물질근처 게시 후 근로자 교육을 실시해야 합니다.
4. 다량 적재 물질 및 유동성 있는 물질 근처에 게시합니다.
5. 표지규격은 500*630이고 PE 보드를 사용합니다.
이동식 가스용접기
1. 비눗물이나 측정기를 사용하여 가스가 새어 나오는지 확인해야 하며 운반수레에 비치해야 합니다.
2. 간이 소화기를 수레에 비치해야 합니다.
3. 전도방지 체인은 항상 위, 아래 두 군데를 체결해야 합니다.
4. 압력계의 작동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5. 위험물 저장소 보관 물질인 산소, 아세틸렌, LPG, 탄소 등 용기의 충전기한을 확인해야 합니다.
6. 충전기한 만료 물질은 즉시 현장에서 반출시켜야 합니다.
용기의 종류 | 15년미만 | 15년~20년 | 20년이상 | |
용접용기(아세틸렌) | 500L 이상 | 5년 | 2년 | 1년 |
500L 이하 | 3년 | 2년 | 1년 | |
액화석유가스용 용접용기(LPG) | 500L 이상 | 5년 | 2년 | 1년 |
500L 이하 | 5년 | 5년 | 2년 | |
이음매 없는 용기 또는 복합재료 용기(산소,CO2,질소등) | 500L 이상 | 신규검사 후 경과연수가 10년 이하인것은 5년마다 | ||
500L 이하 | 경과 연수가 10년 이상인 것은 3년마다 |
관리기준
1. 교류 아크 용접기를 사용할 경우에는 적격품의 자동 전격 방지기를 사용해야 하며, 작동상태를 수시로 확인해야 합니다.
2. 단자 접속부에는 테이핑을 하는 등 절연 조치를 해야 하며, 용접기는 접지를 해야 합니다. 접지는 필요시 외함 접지를 해야 합니다.
3. 용접 홀더와 어스 클램프는 서로 가까운 곳에 설치되어야 합니다.
4. 홀더 및 홀더 선은 피복 및 절연상태를 유지해야 합니다.
5. 홀더는 모재 및 용접봉과 접촉되는 집게 부위 외에는 전체를 절연 조치해야 합니다.
6. 용접작업을 중지할 경우 용접기의 전원을 차단해야 합니다.
'안전.보건 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 휘발유, 급결제, 고무발포 본드 (0) | 2019.05.24 |
---|---|
MSDS 경고표지판(경유,락카 스프레이,N-옥틸 메르캅탄) (0) | 2019.05.23 |
거푸집 및 갱폼, 동바리 설치 안전관리 (0) | 2019.05.23 |
낙하물 방지망 안전 (0) | 2019.05.22 |
철골 안전 관리 (0) | 2019.05.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