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해상공사와 대표적으로 사용하는 해상크레인의 관리기준에 대해 알아봅니다

 

해상공사

@ 적용대상

1. 해상 항타와 해상 선박에 관한 기준

 

@ 관리기준

1. 와이어로프 드럼은 최소 2바퀴 이상의 와이어 감김 확인

2. 역회전 방지장치 설치

3. 붐 백스테이(back-stay)는 줌의 전도방지를 위한 안전 조치

4. 붐각끈 방지 센서는 붐 각도 조절 장치 설치로 완성

5. 리더 이동통로, 완강기 및 로립(일명 코브라) 설치

6. 장비 정비 작업 시 달비계 사용

7. 키퍼 안전 난간대 설치

해상항타

8. 앵커 브이 등 설치

- 앵커 위치 표시

- 야간 앵커 브이 식별을 위한 브이 등 설치로 충돌사고 예방조치

9. 신호수 배치

- 파일 체결, 인양 시 신호수 배치로 안전작업 유도

- 신호수와 크레인 원전원 신호체계 확립 (무전기 사용 권장)

10. 탑재 크레인은 크롤러 크레인 사용

- 크레인은 바지선과 고정조치(4개소 이상)

- 양중 능력 75% 이내 사용

해상 항타 파일이동

11. 위험물 저장소 설치

12. 검증된 제품 사용(계류 로프, 앵커 로프, 샤클 등)

13. 안전통로 설치

14. 추락방지 시설물 설치(안전난간대, 생명줄 등)

15. 선상 내 가스누출 감지기 및 차단장치 설치

16. 엔진실 내부 회전체 방호조치

17. 윈치는 지정된 사람만 조작

18. 알코올음료 선내 반입 금지

19. 풍량 주의보 발표 시 운항금지

해상선박

 

해상크레인

 

@ 적용대상

1. 작업허가서 확인 및 안전벨트 체결 확인

2. 주변 통제, 기상확인

3. 무어링 보강 여부

 

@ 관리기준 

1. 기상예보 및 기상상황 확인

2. 양중계획/계류계획 도면 확인 및 점검

3. 작업구간 확인(주변 간섭물, 안벽 시설물 충돌 위험 확인)

4. 크레인 별 적정 예인선 배치

5. 기상상황에 따른 작업 조건은 별첨

6. 작업구역 내 접근 통제

7. 기상악화 시 작업 중지

8. 작업중 돌풍이나 너울에 의한 흔들림 방지를 위한 무어링 보강

9. 양중 작업 시 좌우 연락선(통제선) 운영

해상 크레인

 

이상으로 해상공사와 해상 크레인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