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작업하는 환경을 측정하는 방법과 소음에 의한 청력 보존 프로그램 내용을 소개합니다.

 

 

작업환경 측정항목으로는 화학적 인자,물리적인자,분진등이 있습니다.

- 화학적인자

1. 중량 비율 1% 이상 함유한 제제로는 유기화합물 113종, 금속류 23종, 산 및 알칼리류 17, 가스상태 물질류 15종이 있습니다.

2. 허가대상 유해물질 14종은 중량비율 1% 이상 함유한 제재 13종과 중량 물질 0.5% 이상 함유한 제제 1종(벤조 트리클로 라이드)

3. 금속 가공유 1종

4. 직종으로는 도장, 방수, 접착제 사용 공종 등이 있습니다.

 

- 물리적 인자

1. 8시간 시간가중 평균 80dB 이상의 소음

2. 고열

3. 해당 직종은 장비운전, 내화피복, 할석 등이 있습니다.

 

- 분진

1. 광물성 분진으로 규산, 규산염, 그 밖의 광물성 분진이 있습니다.

2. 곡물 분진

3. 면 분진

4. 나무 분진 : 연목, 강목

5. 용접 흠

6. 유리 섬유

7. 직종으로는 형틀목공, 용접, 보온(유리섬유)등이 있습니다.

 

- 작업환경 측정을 제외하는 작업

1. 임시 작업 및 단기간 작업을 하는 작업장(고용 노동부 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물질을 취급하는 작업은 제외)

2. 관리대상 유해물질의 허용 소비량을 초과하지 아니하는 작업(그 관리대상 유해물질에 관한 작업 환경 측정만 해당)

3. 분진 작업의 적용 제외 작업장(분진에 관한 작업 환경측정만)

4. 대상 유해인자의 노출 수준이 노출 기준에 비하여 현저히 낮은 경우로서 고용노동부 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작업장

 

이상 작업 환경측정 기준과 직종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다음으로 청력 보존 프로그램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청력 측정

청력 보존 프로그램

용어의 정의

1. 소음 작업이란 1일 8시간 작업을 기준으로 85dB(A) 이상인 작업

2. 강렬한 소음작업 이란, 다음 항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작업

- 90 데시벨 이상의 소음이 1일 8시간 이상 발생하는 작업

- 95 데시벨 이상의 소음이 1일 4시간 이상 발생하는 작업

- 100 데시벨 이상의 소음이 1일 2시간 이상 발생하는 작업

- 105 데시벨 이상의 소음이 1일 1시간 이상 발생하는 작업

- 110 데시벨 이상의 소음이 1일 30분 이상 발생하는 작업

- 115 데시벨 이상의 소음이 1일 15시간 이상 발생하는 작업

3. 충격소음 작업이란 소음이 1초 이상의 간격으로 발생하는 작업으로서 다음 항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작업

- 120 데시벨을 초과하는 소음이 1일 1만 회 이상 발생하는 작업

- 130 데시벨을 초과하는 소음이 1일 1천 회 이상 발생하는 작업

- 140 데시벨을 초과하는 소음이 1일 1백 회 이상 발생하는 작업

4. 청력 보존 프로그램이란 소음 노출평가, 소음 노출기준 초과에 따른 공학적 대책, 청력 보호구의 지급 및 착용, 소음의 유해성과 예방에 관한 교육, 정기적 청력검사, 기록, 관리 사항 등이 포함된 소음성 난청을 예방, 관리하기 위한 종합적인 계획을 말합니다.

5. 청력보호구라 함은 청력을 보호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귀마개와 귀덮개를 말합니다.

6. 청력검사라 함은 순음청력검사기로 기도 및 청력 역치를 측정하는 것을 말합니다.

청력 보존 프로그램의 내용

1. 소음성 난청의 예방과 청력 보호를 위한 교육의 제공

2. 작업장 소음 수준의 정기적인 측정과 평가

3. 소음을 제어하기 위한 공학적인 관리와 소음 노출을 줄이기 위한 작업관리

4. 청력 보호구의 제공과 착용 지도

5. 소음 작업 근로자에 대한 배치 시 정기적 청력검사, 평가와 사후관리

6. 청력 보존 프로그램의 수립, 시행의 문서 및 기록관리와 시행 결과에 대한 정기적인 평가와 보안

7. 법 제42조에 따른 소음의 작업환경 측정 결과 소음 수준이 90dB(A)을 초과하는 사업장

8. 소음으로 인하여 근로자에게 건강 장해가 발생한 사업장에 대해 실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