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카테고리 없음

사다리 안전

떠나는나를 찾아서

사다리 안전에 대해 알아봅니다.

사다리 안전 관리기준

 

A형 사다리 관리기준

1. 사다리는 평평하고 단단한 바닥에 세우고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2. 사다리 아웃트리거 4개소를 고정 설치해야 한다.

3. 사다리 디딤대 딛고 작업은 금지한다.

4. 사다리 오르내리며 짐 나르는것을 금지한다.

5. 이동식 틀비계 및 말비계를 사용한다.

6. 기본적으로 사다리 작업은 2인 1조가 되어야 한다.

7. 안전한 작업 발판을 지급해야 하는것이 사업주의 의무이다.

8. 안전대를 부착설비에 걸고 안전벨트를 체결하여 작업하여야 한다.

사다리 사용예시

 

이동식 또는 일자형 사다리 관리기준

1. 받침대 와 디딤판의 간격은 35cm 이내이어야 한다.

2. 사다리 폭은 30cm 이상, 길이 6m를 초과하지 않도록 설치한다.

3. 사다리 내민길이와 사다리를 걸쳐놓은 부분에서 최소 0.6m 이상 연장을 해야 한다.

4. 사다리의 전도 방지를 위해 상부 고정 및 하부 전도 밀림 방지를 조치해야 한다.

5. 설치각도와 수평면과의 각도는 75도 이내로 유지한다.

6. 길이 7m 이상 고정식 사다리는 높이 2.5m 지점부터 등받이 울을 설치해야 한다.

7. 자재. 공도구 운반 시 달기 줄을 사용해야 한다.

 

사다리 재해에 관해...

1. 최근 10여년간 사다리로 인하여 약 71%의 재해자가 중상해를 당했다. (38,859명 중 27,739명)

2. 사다리는 지게차와 함께 사망사고 1위의 기안물이므로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3. 사다리 작업시 작업자는 안전모를 착용해야 하고, 안전대를 안전대 부착설비에 걸고 작업해야 한다.

 

좀 더 나아가 가설통로에 대해서 알아봅니다.

관리기준

1. 승강기의 경사가 30도 이내일 때 경사로를 설치해야 한다.

2. 경사로의 폭은 최소 90cm 이상으로 설치해야 한다. 

3. 가설 계단은 35cm로 설치해야 한다.

4. 난간대의 통로 좌,우측에 90cm 이상의 상부 손잡이 및 45cm 위치에 중간대를 설치해야 한다.

5. 높이가 8m 를 초과하면 7m 이내에 계단참을 설치해야 한다.

6. 경사로의 지지기둥은 수평거리 2m 이내마다 설치한다.

7. 경사각이 15도 이상 30도 미만 시 미끄럼 막이 틀을 설치한다.

8. 경사로는 항상 정리정돈이 되어있어야 하며 안전통로 구간은 확보가 되어 있어야 한다.

9. 발판이 이탈하거나 한쪽 끝을 밟으면, 다른 쪽이 들리지 않게 장선에 3개 이상 고정 설치한다.

 

댓글